본문 바로가기
챗GPT 101

챗GPT 대화 기록을 챗GPT가 못가져가게 하는 방법

by -Joy- 2023. 5. 3.

챗GPT에 대화 기록을 끄는 기능이 도입되었습니다. 기존에도 물론 채팅 내역을 유저가 직접 삭제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이번에 도입된 기능은 챗GPT를 관리 및 운영하는 오픈AI사 측에서 채팅 기록을 가져가 언어모델을 훈련시키는 데 쓰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챗GPT 대화 기록 비활성화 하는 방법

1. 챗GPT에 접속합니다.

2. 채팅창 좌측 하단에 보이는 내 이름을 클릭합니다.

채팅창 좌측 하단에 보이는 내 이름 영역

3. 아래와 같이 메뉴가 노출됩니다. 그 중 아래에서 두 번째에 있는 'Settings'를 클릭합니다.

내 이름을 클릭하면 이렇게 메뉴창이 노출됩니다.

4. 아래와 같이 Settings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Data Controls 옆에 써있는 'Show'를 클릭합니다.

Settings 팝업 내 Data Controls 영역에 있는 Show 를 클릭합니다.

5. Data Controls 아래에 Chat History & Training 이라는 추가 설정 영역이 나타납니다. 보시면 on 상태로 되어있는 것이 기본 설정입니다. 여기에서 녹색 토글 버튼을 한 번 클릭합니다. 

Chat History & Training 기능을 옵트아웃 해줍니다.

6. 아래에 보시는 것처럼 토글 버튼이 회색으로 바뀐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대화 기록이 비활성화된 것입니다. 팝업창의 우측 상단에 있는 X 버튼을 클릭하여 팝업창을 닫아줍니다.

해당 기능이 옵트아웃 된 모습입니다.

 

7. 다시 채팅창으로 돌아오면 화면 좌측 상단에 아래와 같이 'Chat History is off.' 라는 메시지가 노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다시 대화 기록을 활성화하고 싶으시다면 녹색의 'Enable chat history' 버튼을 클릭하여 활성화해주시면 됩니다.

옵트아웃 후에 채팅창에 노출되는 메시지입니다.

 

참고로, 이렇게 대화 기록을 비활성화 시키더라도 오픈AI사 측에서는 대화가 진행된 후 30일 간은 채팅 내용을 계속 저장한다고 합니다. 사용자들이 챗GPT를 남용 또는 오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하며, 다만 이 기간동안 모든 채팅 내용을 확인하겠다는 것은 아니고 꼭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에만 하겠다고 합니다. 그리고 30일이 지난 후에야 대화 기록을 영구적으로 삭제한다고 하니 이용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챗GPT 대화 기록 비활성화 기능 탄생의 이유

이번에 이 기능이 생긴 이유는 얼마 전부터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챗GPT의 개인정보 보안과 관련하여 문제가 되고있기 때문입니다. 사용자들이 무심코 챗GPT와의 대화창에 개인정보와 각종 민감한 정보를 남기는 경우가 많았는데 오픈AI사 측에서는 이러한 개인정보를 스크리닝 처리 없이 언어 모델의 학습에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었고, 실제로 3월 중에는 일부 유저들의 신용카드 뒷자리 등이 다른 유저들에게 노출되는 일도 발생했습니다.

 

기존에는 챗GPT와 대화 도중 실수로 개인정보를 남겼더라도 유저 입장에서는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이 없었고, 아마도 당시의 챗GPT 이용약관에 따라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든 아니든 이용자의 모든 채팅 기록은 챗GPT 언어모델을 학습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이 생겼고 앞으로는 유저의 대화 기록에 대한 1차 콘트롤을 유저 스스로가 할 수 있는 것이니 개인 정보의 유출 우려를 조금이나마 덜 수 있겠습니다.

 

물론 이 기능을 활성화 한대도, 위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오픈AI사의 서버에는 대화 기록이 무조건 30일은 남게 되는 것이니 챗GPT에게 개인 정보나 민감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주의해야겠습니다.

 

보안문제로 이용 금지된 챗GPT, 안전한 건 맞나요? 바로가기
이탈리아가 챗GPT를 차단시킨 이유는? 다른 나라는? 바로가기

 

댓글